파이썬 언어에서 사용되는 값들의 기본 자료형을 살펴본다.
변수에 할당될 수 있는 가장 단순한 자료형에는 네 종류가 있다:
int
): -3
, -2
, -1
, 0
, 1
, 2
, 3
, 등등1 + 2
, -2 * 3
, 등등float
): 1.2
, 0.333333
, -1.2
, -3.7680
, 등등 2.0/3.5
, 3.555 + 3.4 * 7.9
, 등등bool
): True
, False
를 포함하여 두 값으로 계산될 수 있는 값1 == 1
, 2 < 3
, 1 + 1 > 3 and 2 < 3
, 등등str
): 'a'
, 'abc'
, 'engineering'
, ... 등등'abc' * 2
, 'engineering' + 'math'
, 등등이번 장 주요 내용:
정수, 부동소수점, 불리언 자료형을 소개. 문자열 자료형은 다음 장에서 다룸.
변수에 할당된 값과 그 값의 자료형을 알아내는 데에 사용하는 두 개의 함수의 기본적인 활용법
print()
함수: 변수에 할당된 값을 확인할 때 사용 type()
함수: 값의 자료형을 확인할 때 사용Spyder, IDLE 등을 사용하여 파이썬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명령 프롬프트(prompt)는 보통 아래의 모양을 갖는다.
>>>
또는
In [1]:
파이썬은 "스크립트 언어"에 속한다. 즉, 코드를 작성한 후에 바로 실행시킬 수 있다. C와 Java 등의 언어는 코드를 작성한 후에 코드가 들어 있는 파일을 컴파일하여 생성된 목적코드(object code)를 실행하기 때문에 컴파일 언어라고 불린다.
예를 들어, print()
함수를 이용하여 터미널 화면에 문자열 값을 보여주고 싶다면 단순히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하면 된다.
주의: print
는 "출력하다", "화면에 보여주다", "인쇄하다" 등으로 번역한다. 반면에 함수를 정의할 때 사용하는 return
은 "값을 돌려준다" "리턴한다" 등으로 번역하여 사용한다. print
와 return
은 사용 용도다 서로 완전히 다르다. 나중에 차이점을 배우게 된다.
print("Hello World")
변수를 선언하고 값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a = 1 + 1
a
파이썬을 계산기처럼 활용할 수도 있다.
2 + 3
a = 2 + 3
a + 1
42 - 15.3
100 * 11
7 / 5
-7/5
7.0 / 5
주의:
파이썬3에서는 나눗셈 연산자(/
)는 무조건 부동소수점을 리턴한다.
파이썬2에서는 나눗셈 연산자(/
)는 정수 자료형인 경우 몫을 계산한다. 반면에 부동소수점이 사용되면 부동소수점을 리턴한다.
In [22]: 7 / 2
Out[22]: 3
In [23]: 7.0 / 2
Out[23]: 3.5
몫을 계산하는 연산자는 //
이다.
7//5
7.0//5
-7//5
-7.0//5
나머지를 계산하는 연산자는 %
이다.
7%5
-7%5
-7.0%5
지수 계산: 예를 들어, 2의 3승을 계산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2 ** 3
9 ** 0.5
컴퓨터 프로그램을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일들을 처리하기 위한 명령문들의 나열로 생각할 수 있다.
특정 데이터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해당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불러올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변수를 활용한다. 변수를 일종의 그릇에 비유할 수 있으며, 변수에 할당된 데이터는 그릇에 담겨진 내용물에 해당한다.
파이썬에서 변수의 이름을 지으려면 기본적으로 세 가지 규칙을 따라야 한다.
반드시 영어 알파벳 문자(a-z,A-Z
) 또는 밑줄기호(_
)로 시작해야 하며, 이후에는 알파벳, 숫자(0-9
), 밑줄기호가 임의로 사용될 수 있다.
파이썬 예약어(def, from, import 등)를 변수 이름으로 사용하면 안된다.
대소문자를 구분해야 한다: 'YOU', 'you', 'You', 'yOu'는 모두 다른 이름으로 처리된다.
'-', '+', '*','/' 등의 연산자 기호는 이름에 사용될 수 없다.
'@', '$', '?' 등의 기호도 사용되지 않는다.
변수에 특정 값을 할당하는 것을 변수 선언이라 부른다. 변수 선언은 아래 모양을 갖춘다.
변수이름 = 할당할 값
예를 들어 아래에서 a_number
라는 변수이름에 정수 2가 할당되었고, a_word
변수에는 dog
라는 문자열이 할당되었다.
주의:
변수를 생성하고자 할 때 값을 초기화하면 된다. 즉, 변수를 미리 선언할 필요가 없다. C와 Java와의 주요 차이점 중의 하나이다.
자료형을 선언할 필요가 없다. 변수의 자료형을 파이썬이 알아서 판단한다. 이를 동적 타이핑(dynamic typing)이라 한다.
# int a_number = 2
a_number = 2
a_word = 'dog'
예를 들어, C 언어의 경우 아래와 같이 선언해야 한다.
int a_number = 2
char a_word[] = 'dog'
변수에 할당된 값을 확인하기 위해 print()
함수를 이용한다.
print(a_number)
print(a_word)
변수에 할당된 값의 자료형을 확인하려면 type()
함수를 호출한다.
type(a_number)
type(a_word)
선언된 변수를 이용하여 연산을 할 수도 있다.
a_number + 7
(a_number * 6.0) / 5
연산의 결과를 변수에 할당할 수 있다. 해당 변수에는 연산의 결과만을 기억한다.
first_result = 8 / 3.5
first_result
계산된 결과의 자료형도 type()
함수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type(first_result)
문자열의 경우 덧셈과 곱셈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다.
"Bull " + a_word
a_word * 2
하지만 변수에 할당된 값의 자료형에 따라 연산의 가능여부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숫자의 문자열의 합은 정의되어 있지 않으며, 실행할 경우 오류가 발생한다.
a_number + a_word
주의: 오류 내용을 초보자가 이해하기는 어렵다. 여기서는 자료형이 맞지 않아 오류가 발생할 경우에 TypeError
가 발생한다는 사실만을 기억해 두면 좋다.
변수에 할당된 값은 변경이 가능하다. 원래 할당된 값을 변경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변수라 부른다. 변수가 아닌 숫자를 상수라 부른다.
print(a_number)
a_number = 5
print(a_number)
파이썬에는 8개의 자료형이 미리 선언되어 있다. 그중 네 개는 단순자료형이며, 나머지 네 개는 컬렉션 자료형(모음 자료형)이다.
하나의 값만을 대상으로 한다는 의미에서 단순 자료형이다. 즉, 정수 하나, 부동소수점 하나, 불리언 값 하나, 문자열 하나 등등.
여러 개의 값들을 하나로 묶어서 다룬다는 의미에서 컬렉션 자료형이다.
여기서는 단순 자료형을 소개하고, 컬렉션 자료형은 이후에 다룬다.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정수(자연수, 0, 음의 정수)들의 자료형을 나타내면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등의 일반 연산이 가능하다.
부동소수점은 원래 실수를 컴퓨터에서 다루기 위해 개발되었으나 실제로는 유리수 일부만을 다룬다. 무리수인 원주율 $\pi$의 경우에도 컴퓨터의 한계로 인해 소수점 이하 적당한 자리에서 끊어서 사용한다.
new_float = 4.0
print(new_float)
정수와 실수 사이에 강제로 형변환 가능하다. 실수를 정수로 변환하고자 할 경우 int()
함수를 사용한다. 그러면 소수점 이하는 버려진다.
int(4.8)
정수를 실수로 형변환하려면 float()
함수를 사용한다.
float(2)
주의: 변수를 형변환한다고 해서 변수에 할당된 값이 변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형변환한 값을 다른 변수에 저장해서 활용할 수는 있다.
basic_int = 2
print(float(basic_int))
print(type(basic_int))
float_basic_int = float(basic_int)
print(type(float_basic_int))
지금까지 살펴보았듯이 float
, int
, print
, type
와 같은 단어는 녹색으로 표시되는데 이는 그 단어들이 파이썬에서 특별한 역할을 수행하는 키워드이기 때문이다.
그런 키워드를 재정의할 수는 있지만 하지 않는 것이 좋다. 혹여 실수로 아래와 같은 일을 할 수도 있는데 매우 조심해야 한다.
int = 4
print("What have we done to int?", int)
int(5.0)
즉, int()
함수의 본래의 정의가 사라졌다. 이럴 때는 아래와 같이 원래의 함수로 되돌릴 수 있다.
del int
int(5.0)
일반적으로 알려진 연산자들 사이의 우선순위를 알아야 한다. 줄여서 PEMDAS(펨다스)로 기억하면 좋다.
PEMDAS:
왼쪽에 오는 연산자의 우선순위가 높다.
지수승을 나타내는 기호는 **
이다.
eqn1 = 2 * 3 - 2
print(eqn1)
eqn2 = -2 + 2 * 3
print( eqn2 )
eqn3 = -2 + (2 % 3)
print( eqn3 )
eqn4 = (.3 + 5) // 2
print(eqn4)
eqn5 = 2 ** 4 // 2
print(eqn5)
if
또는 while
문에서 사용되는 불리언 자료형에는 두 개의 값만 사용된다.
True
False
이 두 개의 값만을 이용하여 복잡한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예제: 강아지를 한 마리만 갖고 있다고 가정하자.
이것을 표현하기 위해 puppy(강아지 한마리)라는 변수에 True를 할당하고, 여러 마리의 강아지를 뜻하는 puppies 변수에는 False를 할당한다.
puppy = True
print(puppy)
type(puppy)
puppies = False
두 개의 변수 선언을 아래와 같이 동시에 할 수 있다. 등호기호 왼편과 오른편에 사용되는 변수와 값의 개수가 동일해야 함에 주의한다.
puppy, puppies = True, False
print("Do I have a puppy?", puppy)
print("Do I have puppies?", puppies)
주의: 위에서 사용된 print함수의 사용법을 기억해둔다. print 함수는 인자를 여러 개 받을 수 있으며 그 값들을 차례대로 동시에 한 줄에 출력한다. 각각의 값들은 스페이스(space)로 구분되어진다.
and
, not
, or
세 개의 연산자를 이용하여 불리언 연산을 할 수 있다. 각 연산자의 의미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 동일하다.
True and True
True and False
불리언 자료형의 변수를 이용하여 연산을 수행할 수도 있다.
puppy and puppies
not puppies
not puppy
not 연산자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다.
puppy and not puppies
puppy or puppies
False or False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숫자들의 비교를 나타내는 연산자들은 다음과 같다. 리턴값은 모두 불리언 자료형이다.
!=
: 다른지 여부를 판단==
: 같은지 여부를 판단<=
: 작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
: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
: 작은지 여부를 판단>
: 큰지 여부를 판단4 == 4
4 == 5
4 != 2
4 != 4
4 > 2
4 > 4
4 >= 4
False or False
두 숫자의 평균값을 구하는 함수를 아래와 같이 작성할 수 있다.
주의: 함수에 대해서는 이후에 좀 더 자세히 다룬다. 여기서는 함수를 작성하는 방식에 주의한다.
함수 작성요령:
def 함수이름(인자1, 인자2, ..., 인자k):
함수본체
return 리턴값
def average(a, b):
""" 두 개의 숫자 a와 b가 주어졌을 때,
두 숫자의 평균을 리턴하는 함수"""
return (a + b) * 0.5
주의:
큰 따옴표 세 개("""...""")로 둘러싸인 부분은 문서화를 위해 사용되며 주석으로 처리된다. 즉, 정의되는 함수의 의미와 역할에 대한 설명을 담는다. 영어로 독스트링(docstring)이라 부른다.
주석 등에 한글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아래 문장이 문서 맨 첫줄에 있어야 한다.
# coding: utf-8
average(10, 20)
average(10, 4)
함수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할 경우 help()
함수를 활용할 수 있다.
그러면 앞서 average
함수를 정의할 때 함께 적어 넣은 독스트링이 보여진다.
help(average)
주어진 자연수 n
이 짝수면 True
를, 홀수면 False
를 리턴하는 함수 even_test(n)
을 정의하라.
활용 예:
In [11]: even_test(27)
Out[11]: False
In [12]: even_test(4)
Out[12]: True
견본답안:
def even_test(n):
if n%2 == 0:
return True
else:
return False
even_test(17)
even_test(4)
아래 방식도 가능하다. (이유를 스스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def even_test1(n):
if not n%2:
return True
else:
return False
even_test1(17)
even_test1(4)
두 숫자 a
와 b
의 사이의 거리를 리턴하는 함수 distance(a, b)
를 정의하라.
활용 예:
In [11]: distance(3, 4)
Out[11]: 1
In [12]: distance(3, 1)
Out[12]: 2
아래 코드에서 pass
부분을 수정해서 채워야 한다.
def distance(a, b):
"""if-else문을 사용하지 않고도 가능하다."""
pass
견본답안:
def distance(a, b):
return abs(a-b)
abs
함수는 인자로 입력된 숫자의 절대값을 리턴하는 함수이다.
distance(3, 4)
distance(3, 1)
반지름이 r
인 원의 넓이를 리턴하는 함수 circle_area(r)
를 정의하라.
활용 예:
In [11]: circle_area(3)
Out[11]: 28.274333882308138
In [12]: circle_area(pi)
Out[12]: 31.006276680299816
주의: 원주율 pi
를 사용하려면 math
모듈을 임포트해야 한다.
견본답안:
import math
def circle_area(r):
return math.pi * r**2
circle_area(3)
circle_area(math.pi)
두 숫자의 기하평균(geometric mean)을 리턴하는 함수 geometric_mean(a, b)
함수를 정의하라.
두 숫자 a
와 b
의 기하평균을 c
라 하면, 두 변의 길이가 각각 a
와 b
인 직사각형의 넓이와 변의 길이가 c
인 정사각형의 넓이가 동일함을 의미한다.
활용 예:
In [ ]: geometric_mean(2, 2)
Out[ ]: 2.0
In [ ]: geometric_mean(2, 8)
Out[ ]: 4.0
In [ ]: geometric_mean(2, 1)
Out[ ]: 1.4142135623730951
힌트: 제곱근을 계산해주는 sqrt()
를 이용한다. 단, sqrt()
함수를 이용하려면 먼저 math
라는 모듈을 아래와 같이 임포트 해야 한다.
import math
이후에 math.sqrt(3)
와 같은 형식으로 제곱근 함수를 호출할 수 있다.
견본답안:
import math
def geometic_mean(a, b):
c = math.sqrt(a * b)
return c
sqrt에 대해 알고 싶으면 help 함수를 활용한다.
help(math.sqrt)
geometic_mean(2, 2)
geometic_mean(2, 8)
geometic_mean(2, 1)
바닥면적이 A
이고 높이가 h
인 피라미드의 부피를 리턴하는 함수 pyramid_volume(A, h)
를 정의하라.
활용 예:
In [ ]: pyramid_volume(1, 2)
Out[ ]: 0.6666666666666666
견본답안:
def pyramid_volume(A, h):
"""4각뿔의 부피는 밑면적 * 높이 * 1/3
리턴값이 항상 float 자료형이 되도록 한다."""
V = A * h / 3.0
return V
주의: 3이 아니라 3.0으로 나누는 것에 주의하라. 파이썬3에서는 상관이 없다.
pyramid_volume(1, 2)
초(second) 단위의 숫자를 받아서 일(day) 단위의 값으로 되돌려주는 seconds2days(sec)
함수를 정의하라. 입력값은 int
또는 float
일 수 있으며 리턴값은 float
자료형이어야 한다.
활용 예:
In [ ]: seconds2days(43200)
Out[ ]: 0.5
견본답안:
# 하루는 아래 숫자만큼의 초로 이루어진다.
# 하루 = 24시간 * 60분 * 60초.
daysec = 60 * 60 * 24
# 이제 초를 일 단위로 변경할 수 있다.
def seconds2days(sec):
""" sec을 일 단위로 변경하는 함수.
강제형변환에 주의할 것"""
return (sec/daysec)
seconds2days(43200)
파이썬2의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정의해도 된다.
def seconds2days(sec):
return (float(sec)/daysec)
변의 길이가 각각 a
, b
, c
인 직각육면체의 표면적을 계산해주는 함수 box_surface(a, b, c)
를 정의하라.
예를 들어, 박스를 페인트칠하고자 할 때 필요한 페인트의 양을 계산하는 문제이다.
활용 예:
In [ ]: box_surface(1, 1, 1)
Out[ ]: 6
In [ ]: box_surface(2, 2, 3)
Out[ ]: 32
견본답안:
def box_surface(a, b, c):
""" 각 변의 길이가 각각 a, b, c인 박스의 표면적을 리턴하는 함수.
힌트: 6개의 면의 합을 구하면 된다"""
s1, s2, s3 = a * b, b * c, c * a
return 2 * (s1 + s2 + s3)
box_surface(1, 1, 1)
box_surface(2, 2, 3)
변의 길이가 각각 a
, b
, c
인 삼각형의 면적 A
를 계산하는 함수 triangle_area(a, b, c)
를 정의하라.
다음 등식을 이용할 수 있다.
A = (s * (s - a) * (s - b) * (s - c)) ** 0.5
s = (a + b + c) / 2
아래 사이트 참조:
견본답안:
def triangle_area(a, b, c):
s = (a + b + c) / 2.0
A = (s * (s - a) * (s - b) * (s - c))
return math.sqrt(A)
triangle_area(2,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