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ndas 소개 2

자료 안내: pandas 라이브러리 튜토리얼에 있는 Lessons for new pandas users의 02-Lesson 내용을 담고 있다.

In [1]:
import pandas as pd
from numpy import random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In [2]:
# 쥬피터 노트북에서 그래프를 직접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코드
# 파이썬 전문 에디터에서는 사용하지 않음
%matplotlib inline

데이터 생성

여기서는 pandas 소개 1에서 다루었던 데이터보다 훨씬 많은 데이터를 생성하고 활용하는 예제를 다룬다.

이전에 다룬 데이터는 1880년도에 신고된 아래 5명의 신생아 이름의 출생수였다.

In [3]:
names = ['Bob','Jessica','Mary','John','Mel']

여기서는 위 5개의 이름을 이용하여 1000개의 이름을 무작위로 생성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생성할 데이터가 1880년에 등록된 1000개의 이름과 해당 이름의 출생아수로 구성되도록 보여지게 하기 위해서이다.

위 5개의 이름을 무작위로 반복 선택하여 생성된 1000개의 데이터에는 동일 이름이 여러 번 등장하게 만들 것이다. 예를 들어, Bob이란 이름이 여러 번 등장할 수 있는데, 이는 서로 다른 병원에서 Bob이라는 이름으로 태어난 아이의 수를 서로 각자 보고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먼저, 위 리스트에서 언급된 다섯 개의 이름을 이용하여 신생아 이름의 집합을 임의로 생성하는 방법을 살펴 보자. 위 5개의 이름을 이용하여 임의로 생성된 1000개의 아이 이름으로 구성된 리스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아래 두 가지 수단을 사용한다.

  • 0과 4 사이에서 임의로 하나의 수를 선택
  • 선택된 수에 해당하는 색인(인덱스)에 위치한 이름을 names 리스트에서 선택

이를 위해서 seedrandint함수를 이용한다.

  • seed 함수
    • randint 함수처럼 난수를 생성하는 함수들은 미리 생성된 난수표에 있는 숫자들을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0번부터 차례대로 선택해서 리턴한다.
    • 즉, 난수가 사실은 진짜 100% 무작위로 생성된 숫자가 아니라는 말이다.
    • 이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난수표의 몇 번째 숫자부터 읽을 것인가를 지정한다.
    • 무작위성을 보다 강화하기 위해 경우에 따라 난수표에 저장된 숫자들 중에서 몇 번째부터 읽을 것인가도 난수로 정할 수도 있다.
    • 예를 들어, seed(500)는 501번째 숫자부터 난수를 읽으라고 설정하는 명령이다.
    • 이렇게 해도 무작위성이 100% 포장되지는 않는다. 실제로 아래 코드는 매번 실행할 때마다 동일한 결과를 낳는다.
    • 실제로 무작위성을 100% 보장하는 일은 불가능하다. 대신에 얼마나 무작위성을 높이느냐가 핵심이며, 상황에 따라 그 정도를 달리 할 뿐이다.
  • randint 함수
    • 지정된 구간 사이에서 정수를 임의로 선택하여 리턴하는 함수
    • 예를 들어, randint(low = 0, high= len(names))는 0과 names 리스트의 길이 사이에서 정수를 임의로 선택하여 리턴
  • names[n]: names 리스트에서 색인이 n인 위치에 있는 항목을 되돌려줌.

아래 코드는 0에서 4사이에서 임의로 선택된 정수에 해당하는 이름을 names 리스트에서 선택하는 과정을 1000번 반복하여 random_names라는 리스트를 생성한다.

주의: 리스트 조건제시법을 활용하였음.

In [4]:
# 무작위성 키우기
random.seed(500)

# 리스트 조건제시법을 활용하여 1000개의 이름 생성
random_names = [names[random.randint(low=0,high=len(names))] for i in range(1000)]

# 앞의 10개 확인
random_names[:10]
Out[4]:
['Mary',
 'Jessica',
 'Jessica',
 'Bob',
 'Jessica',
 'Jessica',
 'Jessica',
 'Mary',
 'Mary',
 'Mary']

위 코드에서는 아래 프로세스가 1000번 반복해서 호출된다.

random.randint(low=0,high=len(names))

따라서 아래와 같이 위 프로세스를 함수로 추상화하여 코드를 보다 이해하기 쉽게 단순화시킬 수 있다. 즉, 가독성을 높힌다.

프로세스: 코드의 일부를 가리킴

In [5]:
# 무작위성 키우기
random.seed(500)

# 리스트 조건제시법을 활용하여 1000개의 이름 생성
# random.randint(low=0,high=len(names))는 

# 난수 생성 프로세스의 추상화
def randIndex(): 
    return random.randint(low=0,high=len(names))

random_names = [names[randIndex()] for i in range(1000)]


# 앞의 10개 확인
random_names[:10]
Out[5]:
['Mary',
 'Jessica',
 'Jessica',
 'Bob',
 'Jessica',
 'Jessica',
 'Jessica',
 'Mary',
 'Mary',
 'Mary']

이제 0부터 1000 사이의 정수를 무작위로 1000개 생성하자. 이렇게 생성된 숫자들은 앞서 무작위로 생성된 아동이름의 출생수로 사용될 것이다.

In [6]:
# 1880년에 출생아동 명으로 신고된 아이들의 수
births = [random.randint(low=0,high=1000) for i in range(1000)]

# 처음 10개의 숫자 확인
births[:10]
Out[6]:
[968, 155, 77, 578, 973, 124, 155, 403, 199, 191]

앞서 언급한 대로 아동명수 출생아수를 짝을 짓도록 하자. zip 함수를 이용하여 namesbirths 에 포함된 자료를 순서대로 짝지운다.

In [7]:
BabyDataSet = list(zip(random_names,births))
BabyDataSet[:10]
Out[7]:
[('Mary', 968),
 ('Jessica', 155),
 ('Jessica', 77),
 ('Bob', 578),
 ('Jessica', 973),
 ('Jessica', 124),
 ('Jessica', 155),
 ('Mary', 403),
 ('Mary', 199),
 ('Mary', 191)]

데이터를 완성하였다. 하지만 이전에도 설명하였듯이 순서쌍들의 리스트는 활용면에서 효율적이지 않다. 대신에 pandas 모듈의 데이터 프레임으로 변환한 후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In [8]:
df = pd.DataFrame(data = BabyDataSet, columns=['Names', 'Births'])
df[:10]
Out[8]:
Names Births
0 Mary 968
1 Jessica 155
2 Jessica 77
3 Bob 578
4 Jessica 973
5 Jessica 124
6 Jessica 155
7 Mary 403
8 Mary 199
9 Mary 191

얻어진 데이터 프레임을 births1880.txt라는 이름의 txt 파일로 저장해보자. 이때, to_csv함수를 이용한다. 매개변수 indexheader는 굳이 함께 저장할 필요가 없으므로 False 값으로 지정해 두자.

In [9]:
df.to_csv('births1880.txt',index=False,header=False)

데이터 호출

앞서 csv 형식으로 저장한 데이터를 불러오기 위해, pandas의 read_csv 함수를 이용한다. read_csv 함수를 살펴보려면 아래와 같이 명령하면 된다.

help(read_csv)

In [10]:
Location = 'births1880.txt'
df = pd.read_csv(Location)

df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알기 위해 info 메소드를 사용한다.

In [11]:
df.info()
<class 'pandas.core.frame.DataFrame'>
RangeIndex: 999 entries, 0 to 998
Data columns (total 2 columns):
Mary    999 non-null object
968     999 non-null int64
dtypes: int64(1), object(1)
memory usage: 15.7+ KB

info 메소드는 아래 사실들을 말해준다.

  • 999개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 Mary라는 이름을 가진 열에는 999개의 값이 있다.
  • 968라는 이름을 가진 열에는 999개의 값이 있다.
  • 두 개의 열 중에서 하나는 정수형 자료가 사용되고, 다른 열에는 정수가 아닌 다른 자료형이 사용된다.

df에 저장된 내용을 보기 위해서 head() 또는 tail() 메소드를 이용하면 된다. 이는 앞에서부터 또는 뒤에서부터 5개의 행을 보여준다. n개의 자료가 보고 싶다면, 괄호안에 n을 쓰면 된다.

In [12]:
df.head()
Out[12]:
Mary 968
0 Jessica 155
1 Jessica 77
2 Bob 578
3 Jessica 973
4 Jessica 124
In [13]:
df. tail()
Out[13]:
Mary 968
994 John 151
995 Jessica 511
996 John 756
997 Jessica 294
998 John 152

위를 살펴보면, read_csv 메소드는 csv 파일의 첫 번째 행을 헤더(header)로 사용한다. 이는 csv 파일이 헤더를 따로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read_csv 메소드를 호출할 때 header 키워드 인자의 값을 None으로 설정하면 된다.

In [14]:
df = pd.read_csv(Location, header=None)
df.info()
<class 'pandas.core.frame.DataFrame'>
RangeIndex: 1000 entries, 0 to 999
Data columns (total 2 columns):
0    1000 non-null object
1    1000 non-null int64
dtypes: int64(1), object(1)
memory usage: 15.7+ KB

이제 info가 다음과 같이 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데이터셋에는 1000개의 레코드가 있다.
  • 0라는 이름을 가진 열에는 1,000개의 값이 있다.
  • 1라는 이름을 가진 열에는 1,000개의 값이 있다.
  • 두 개의 열이 있는데, 하나는 정수형 자료형을 사용하고, 다른 열은 정수형 이외의 자료형을 사용한다.

다시 df의 마지막 5개의 행을 확인해 보자.

In [15]:
df.tail()
Out[15]:
0 1
995 John 151
996 Jessica 511
997 John 756
998 Jessica 294
999 John 152

만약 열에 특정한 이름을 사용하고 싶다면, names라는 매개변수를 사용한다. 이때, header 매개변수는 생략가능하다.

In [16]:
df = pd.read_csv(Location, names=['Names','Births'])
df.head(5)
Out[16]:
Names Births
0 Mary 968
1 Jessica 155
2 Jessica 77
3 Bob 578
4 Jessica 973

숫자 0, 1, 2, 3, 4 등은 엑셀 파일에 있는 행의 숫자라고 생각하면 된다. pandas에서는 이것을 데이터 프레임의 색인(인덱스, index)라고 한다. [Names, Births]는 엑셀 스프레드시트의 열 이름(column header)을 담당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제 저장된 txt 파일은 삭제해도 좋다.

In [17]:
import os
os.remove(Location)

데이터 클리닝(cleaning)

df에 저장된 데이터는 1880년에 태어난 아이의 이름과 출생수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이 데이터는 우리가 연습용으로 임의로 만들었다.)

총 1,000개의 기록이 있고 결측치(missing value)는 없다. Names 열에 포함된 이름은 5개 뿐이다. (우리가 그렇게 만들었다.) 이 사실을 unique 메소드를 활용하여 확인 할 수 있다.

In [18]:
# 방법 1:
df['Names'].unique()
Out[18]:
array(['Mary', 'Jessica', 'Bob', 'John', 'Mel'], dtype=object)

names 열에 사용된 이름들은 애초에 우리가 지정한 5개의 이름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다.

주의: unique() 메소드의 리턴값은 array 자료형이다.

만약 유일한 값을 print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작성하면 된다:

In [19]:
for x in df['Names'].unique():
    print(x)
Mary
Jessica
Bob
John
Mel

describe 메소드를 활용하면 사용된 이름들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In [20]:
# 방법 2:
print(df['Names'].describe())
count     1000
unique       5
top        Bob
freq       206
Name: Names, dtype: object
In [21]:
df['Names'].describe().freq
Out[21]:
206
  • 총 1000개의 자료 포함됨
  • 5개의 이름만 사용됨
  • Bob 이름이 가장 많이 사용됨
  • Bob 이름이 총 206번 사용됨

df에 아이 이름이 여러 번 사용되었고 사용될 때마다 출생수와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하나의 이름과 연결된 출생아수를 모두 합하여 해당 이름이 모두 몇 번 사용되었는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groupby() 메소드를 이용한다.

최종 결과는 미리 알고 있듯이 기존에 1000개의 행이 이제는 5개의 행으로 구성될 것이다.

In [22]:
# Names열을 기준으로 모둠화(그룹화)하기
# 즉, 이름별로 모둠 만들기
name = df.groupby('Names')

# 그런 다음에 각 모둠에 대해 sum() 메소드 적용하기
# 이름이 사용된 총 횟수 계산하기
df = name.sum()
df
Out[22]:
Births
Names
Bob 106817
Jessica 97826
John 90705
Mary 99438
Mel 102319

데이터 분석

예를 들어, 가장 인기있는 이름 즉, 출생수가 가장 높은 이름을 찾기 위해서 다음 두 가지 방식 중에 한 가지를 활용할 수 있다.

  • 방법 1: 둘 째 열을 기준으로 내림차순으로 정렬한 후 첫째 행 선택
  • 방법 2: 둘째 열에 대해 max() 함수 적용

방법 1: 특정 열을 기준으로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기

In [23]:
Sorted = df.sort_values(['Births'], ascending=False)
Sorted
Out[23]:
Births
Names
Bob 106817
Mel 102319
Mary 99438
Jessica 97826
John 90705

1행만 확인하려면 head() 메소드를 활용한다.

In [24]:
Sorted.head(1)
Out[24]:
Births
Names
Bob 106817

방법 2: 특정 열에 대해 일괄적으로 max() 메소드 적용하기

In [25]:
df['Births'].max()
Out[25]:
106817

데이터 시각화

Births열을 막대그래프로 나타내 보자. 그래프를 보면, Bob이 가장 인기 있는 이름이라는 사실을 한 눈에 알 수 있다.

막대그래프는 plot.bar() 메소드를 활용한다.

In [26]:
import numpy as np
In [27]:
# 막대 그래프 만들기
print("가장 인기 있는 이름은 아래와 같다.")
df['Births'].plot.bar()
plt.show()
가장 인기 있는 이름은 아래와 같다.